맨위로가기

점대점 프로토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점대점 프로토콜(PPP)은 두 노드 간의 직접적인 연결을 설정하는 데 사용되는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이다. PPP는 연결을 설정하고 관리하며, 다양한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PPP는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을 사용하여 연결 옵션을 협상하고,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NCP)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계층 정보를 협상한다. 또한 인증, 압축, 오류 감지, 멀티링크 등의 기능을 제공하며, HDLC 프레임의 변형된 구조를 사용한다. PPP는 여러 링크를 통해 트래픽을 분산하는 멀티링크 PPP(MLPPP)와 같은 파생 프로토콜을 지원하며, PPPoE는 이더넷 프레임 위에 PPP를 캡슐화하는 프로토콜이다. IETF 표준 RFC 1661에 정의되어 있으며, 다양한 관련 RFC를 통해 여러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과의 연동을 정의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논리적 연결 제어 - PPPoE
    PPPoE는 이더넷을 통해 PPP 연결을 설정하는 네트워크 프로토콜로, DSL과 같은 광대역 환경에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로 동작하며, 사용자의 컴퓨터를 ISP에 연결하는 데 사용되고, 디스커버리 및 PPP 세션 단계를 거쳐 연결을 설정하며 전 세계에서 널리 쓰인다.
  • 논리적 연결 제어 - 고급 데이터 연결 제어
    고급 데이터 연결 제어(HDLC)는 IBM의 SDLC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개발되어 ITU, ANSI 등에서 표준화된 동기식/비동기식 데이터 링크 제어 프로토콜로서, 프레임 구조 정의, 투명성 확보 기법, 다양한 프레임 종류를 통해 통신 요구를 지원한다.
  • 모뎀 - 케이블 모뎀
    케이블 모뎀은 DOCSIS 기반 기술을 통해 케이블 네트워크에서 고속 인터넷 접속을 제공하지만, 상호 운용성 문제와 보안 취약점 등의 과제가 존재하며 MoCA와 같은 기술로 기능 확장이 가능하다.
  • 모뎀 - 디지털 가입자 회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DSL)은 기존 전화선을 활용하여 고속 데이터 통신을 제공하는 기술이며, ADSL 서비스 도입으로 초고속 인터넷 시대를 열었으나 FTTH 기술 발달로 가입자는 감소 추세에 있다.
  • 링크 프로토콜 - 프레임 릴레이
    프레임 릴레이는 LAN 간 또는 WAN 종단점 간 데이터 전송을 위한 고속 패킷 교환 방식 통신 프로토콜로, X.25 프로토콜을 간소화하여 속도를 높이고, 영구 가상 회선을 통해 안정적인 연결을 제공하며, 서비스 품질 설정을 통해 프레임 우선순위를 지정할 수 있었으나, 현재는 다른 기술에 밀려 사용이 감소하고 있다.
  • 링크 프로토콜 - 데이터 링크 계층
    데이터 링크 계층은 물리적 링크를 통해 연결된 호스트 간 데이터 프레임 전송을 담당하며, 주소 지정, 통신 경로 설정, 오류 제어, 흐름 제어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여 데이터 전송의 신뢰성을 높이는 OSI 네트워크 아키텍처의 계층이다.
점대점 프로토콜

2. 역사

PPP는 시리얼 라인 인터넷 프로토콜(SLIP)의 후계로 1992년에 규정되었지만, 현재는 1994년에 규정된 버전이 사용되고 있다. PPP는 SLIP과 달리 TCP/IP 외의 통신 프로토콜(NetBEUI, AppleTalk 등)과도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1]

다이얼 업 PPP는 PPP에 다이얼 발신 및 착신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전화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컴퓨터를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초기 IIJ에 의한 구현 "iij-ppp"가 유명하다.[1]

PPP의 통신은 '''링크 제어 프로토콜''' ('''LCP''', 링크 제어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NCP''',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의 두 가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LCP에 의해 비밀번호 인증 프로토콜 (PAP,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 또는 CH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링크를 확립한 후, NCP가 각 통신 프로토콜에 필요한 설정 및 인증을 수행하여 접속을 확립한다.[1]

시리얼 통신 회선을 이용한다.[1]

여러 PPP 회선을 묶어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멀티 링크 PPP'''라고 한다. ISDN이나 PHS 등에서 사용된다.[1]

이더넷상에서 PPP에 의한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으로 '''PPPoE'''( 다음 절 참조), ATM상에서의 유사한 방법으로 '''PPPoA''' (PPP over ATM)가 있다.[1]

3. 구성 요소

PPP는 세 가지 주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계층화된 프로토콜이다:[4]

# 지정된 물리 계층을 통해 데이터그램을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캡슐화 구성 요소.

# 링크를 설정, 구성 및 테스트하고 설정, 옵션 및 기능 사용을 협상하는 링크 제어 프로토콜 (LCP).

# 네트워크 계층에 대한 선택적 구성 매개변수 및 기능을 협상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NCP). PPP에서 지원하는 각 상위 계층 프로토콜에 대해 하나의 NCP가 존재한다.

PPP 통신은 링크 제어 프로토콜 (LCP)과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NCP)이라는 두 가지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LCP는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 (PAP) 또는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프로토콜 (CHAP)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링크를 확립한다. 이후 NCP는 각 통신 프로토콜에 필요한 설정 및 인증을 수행하여 접속을 확립한다.

PPP 아키텍처
IP
LCPCHAP, PAP, EAPIPCP
PPP 캡슐화
HDLC 유사 프레이밍PPPoEPPPoA
RS-232POS이더넷ATMSONET/SDH


4. 자동 구성

LCP는 각 종단에서 인터페이스의 자동 구성을 제공하며 (예: 데이터그램 크기, 이스케이프된 문자 및 매직 넘버 설정) 선택적 인증을 선택할 수 있다. LCP 프로토콜은 PPP 위에서 실행되며(PPP 프로토콜 번호 0xC021), 따라서 LCP가 구성하기 전에 기본적인 PPP 연결이 설정되어야 한다.[5]

링크가 설정된 후, 추가적인 네트워크(3계층) 구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일반적으로는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이 사용되며, 과거에는 인터네트워크 패킷 교환 제어 프로토콜(IPXCP) 및 AppleTalk 제어 프로토콜(ATCP)도 인기가 있었다.[5][6]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제어 프로토콜(IPv6CP)은 IPv6가 주된 3계층 프로토콜로서 IPv4를 대체함에 따라 향후 사용이 확대될 것이다.

5.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지원

PPP는 동일한 통신 링크에서 여러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이 작동하도록 허용한다. 사용되는 모든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에 대해, 여러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에 대한 옵션을 캡슐화하고 협상하기 위해 별도의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NCP)이 제공된다.[4] NCP는 연결이 설정된 후 네트워크 주소 또는 압축 옵션과 같은 네트워크 계층 정보를 협상한다.

예를 들어, IP는 IPCP를 사용하고, IPX(인터네트워크 패킷 교환)는 Novell IPX 제어 프로토콜 ('''IPX/SPX''')을 사용한다. NCP에는 PPP 연결이 캡슐화하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유형을 나타내는 표준화된 코드를 포함하는 필드가 있다.

다음은 PPP와 함께 사용될 수 있는 NCP이다.

프로토콜프로토콜 코드 번호RFC
IP에 대한 IPCP0x8021RFC 1332
다양한 OSI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에 대한 OSI 네트워크 계층 제어 프로토콜(OSINLCP)0x8023RFC 1377
AppleTalk에 대한 AppleTalk 제어 프로토콜(ATCP)0x8029RFC 1378
인터넷 패킷 교환에 대한 인터네트워크 패킷 교환 제어 프로토콜(IPXCP)0x802BRFC 1552
DNA Phase IV 라우팅 프로토콜(DECnet Phase IV)에 대한 DECnet Phase IV 제어 프로토콜 (DNCP)0x8027RFC 1762
NetBIOS 프레임 프로토콜(이전에는 NetBEUI라고 불림)에 대한 NetBIOS 프레임 제어 프로토콜 (NBFCP)0x803FRFC 2097
IPv6에 대한 IPv6 제어 프로토콜(IPV6CP)0x8057RFC 5072


6. 루프 링크 감지

PPP는 매직 넘버를 사용하는 기능을 통해 루프 링크를 감지한다. 노드가 PPP LCP 메시지를 보낼 때, 이 메시지에는 매직 넘버가 포함될 수 있다. 회선이 루프되어 있으면 노드는 상대 노드의 매직 넘버가 아닌 자신의 매직 넘버를 포함하는 LCP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7. 구성 옵션

PPP는 링크를 설정, 구성, 테스트하고 설정, 옵션 및 기능 사용을 협상하는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와 네트워크 계층에 대한 선택적 구성 매개변수 및 기능을 협상하는 데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NCP)로 구성된다.[4]

LCP는 연결 옵션을 협상할 수 있도록 호스트 간의 연결을 원활하게 시작하고 종료하며, 데이터그램 크기, 이스케이프된 문자 및 매직 넘버 설정과 같은 인터페이스 자동 구성을 제공하고 선택적 인증을 선택할 수 있다. LCP 프로토콜은 PPP 위에서 실행된다.[4]

RFC 1994는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프로토콜(CHAP)을 설명하며, 이는 ISP와의 다이얼업 연결 설정에 선호된다.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PAP)이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RFC 2284에 설명된 확장 인증 프로토콜(EAP)도 PPP를 통한 인증을 위한 또 다른 옵션이다.

링크가 설정된 후, 인터넷 프로토콜 제어 프로토콜(IPCP)이 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인터네트워크 패킷 교환 제어 프로토콜(IPXCP) 및 AppleTalk 제어 프로토콜(ATCP)도 사용되었다.[5][6] 인터넷 프로토콜 버전 6 제어 프로토콜(IPv6CP)은 향후 사용이 확대될 것이다.

PPP는 매직 넘버를 통해 루프 링크를 감지한다. 노드가 PPP LCP 메시지를 보낼 때, 이 메시지에는 매직 넘버가 포함될 수 있다. 회선이 루프되어 있으면 노드는 자신의 매직 넘버를 포함하는 LCP 메시지를 수신하게 된다.

PPP는 다음과 같은 LCP 옵션을 포함할 수 있다.


  • '''인증''': 피어 라우터는 인증 메시지를 교환하며, PAP(Password Authentication Protocol)와 CHAP(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두 가지 인증 선택 사항이 있다.
  • '''압축''': BSD compress 또는 Deflate와 같이 합의된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링크를 통해 전송해야 하는 프레임 내 데이터 양을 줄여 PPP 연결의 유효 처리량을 증가시킨다. 프로토콜은 대상에서 프레임을 압축 해제한다.
  • '''오류 감지''': 품질 및 매직 넘버 옵션은 안정적이고 루프가 없는 데이터 링크를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매직 넘버 필드는 루프백 상태에 있는 링크를 감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매직 넘버는 연결의 각 끝에서 무작위로 생성된다.
  • '''멀티링크''': 멀티링크 PPP를 통해 PPP에서 사용하는 여러 인터페이스에 부하 분산을 제공한다.

8. PPP 프레임 구조

PPP 프레임은 HDLC 프레임의 변형된 형태이다.

이름바이트 수설명
플래그10x7E, PPP 프레임의 시작
주소10xFF, 표준 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어10x03, 번호가 없는 데이터
프로토콜2내장된 데이터의 PPP ID
정보가변 (0 이상)데이터그램
패딩가변 (0 이상)선택적 패딩
프레임 검사 시퀀스2프레임 체크섬
플래그10x7E, 연속된 PPP 패킷에서는 생략됨



양쪽 피어가 LCP 과정에서 주소 필드와 제어 필드 압축에 동의하면 해당 필드는 생략된다. 마찬가지로 양쪽 피어가 프로토콜 필드 압축에 동의하면 0x00 바이트를 생략할 수 있다.[7]

프로토콜 필드는 페이로드 패킷의 유형을 나타낸다. LCP의 경우 0xC021, 다양한 NCP의 경우 0x80xy, IP의 경우 0x0021, AppleTalk의 경우 0x0029, IPX의 경우 0x002B, 멀티링크의 경우 0x003D, NetBIOS의 경우 0x003F, MPPC 및 MPPE의 경우 0x00FD 등이다.[7] PPP는 제한적이며 이더타입과 달리 일반적인 계층 3 데이터를 포함할 수 없다.

정보 필드에는 PPP 페이로드가 포함되어 있으며, 최대 전송 단위라고 하는 협상된 최대 길이를 갖는 가변 길이를 갖는다. 기본적으로 최대 길이는 1500 옥텟이다. 전송 시 패딩될 수 있다. 특정 프로토콜에 대한 정보를 패딩할 수 있는 경우 해당 프로토콜은 정보를 패딩과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9. 캡슐화

PPP는 HDLC 사양을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데이터그램을 전송하기 위해 하위 계층 프로토콜에 캡슐화된다. 시리얼 링크에서는 일반적으로 IETF RFC 1662에 설명된 HDLC와 유사한 프레이밍으로 캡슐화된다.

이름바이트 수설명
플래그1프레임의 시작 또는 끝을 나타냄
주소1브로드캐스트 주소
제어1제어 바이트
프로토콜1 또는 2 또는 3정보 필드의 길이
정보가변(0 이상)데이터그램
패딩가변(0 이상)선택적 패딩
FCS2 (또는 4)오류 검사



플래그 필드는 HDLC와 유사한 프레이밍을 가진 PPP가 사용될 때 존재한다.[4]

주소 및 제어 필드는 항상 16진수 FF("모든 스테이션"에 해당) 및 16진수 03("번호가 없는 정보"에 해당) 값을 가지며, PPP LCP 주소 및 제어 필드 압축(ACFC)이 협상될 때 생략될 수 있다.[4]

프레임 검사 시퀀스(FCS) 필드는 개별 프레임에 오류가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된다. 여기에는 전송 오류에 대한 기본적인 보호를 제공하기 위해 프레임에 대해 계산된 체크섬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이더넷에서 사용되는 것과 같은 다른 레이어 2 프로토콜 오류 보호 체계에 사용되는 것과 유사한 CRC 코드이다. RFC 1662에 따르면 크기는 16비트(2바이트) 또는 32비트(4바이트)일 수 있다(기본값은 16비트 - 다항식 ''x''16 + ''x''12 + ''x''5 + 1).[4]

FCS는 메시지가 캡슐화된 후 주소, 제어, 프로토콜, 정보 및 패딩 필드에 대해 계산된다.[4]

10. 링크 활성화 및 단계

점대점 프로토콜의 통신은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링크 제어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NCP,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의 두 가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한다. LCP에 의해 비밀번호 인증 프로토콜 (PAP,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 또는 CH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링크를 확립한 후, NCP가 각 통신 프로토콜에 필요한 설정 및 인증을 수행하여 접속을 확립한다.

PPP 연결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친다.


  • '''링크 다운''': 링크가 실패하거나 한쪽에서 연결을 끊으라는 지시를 받은 경우에 발생한다. (예: 사용자가 전화 접속 연결을 종료한 경우)
  • '''링크 설정 단계''': 링크 제어 프로토콜 협상이 시도되는 단계이다. 성공하면 인증 여부에 따라 인증 단계 또는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단계로 넘어간다.
  • '''인증 단계''': 이 단계는 선택 사항이다. 연결이 설정되기 전에 양측이 서로를 인증할 수 있도록 한다. 성공하면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단계로 넘어간다.
  •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단계''': 각 원하는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이 호출되는 단계이다. 예를 들어 IPCP는 회선을 통해 IP 서비스를 설정하는 데 사용된다.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로 성공적으로 시작된 모든 프로토콜의 데이터 전송도 이 단계에서 발생한다.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종료도 이 단계에서 발생한다.
  • '''링크 종료 단계''': 이 연결을 종료한다. 이는 인증 실패, 체크섬 오류가 너무 많아 양측이 자동으로 링크를 해제하기로 결정한 경우, 링크가 갑자기 실패한 경우 또는 사용자가 연결을 끊기로 결정한 경우에 발생할 수 있다.

11. 여러 링크를 통한 PPP

여러 PPP 회선을 묶어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경우를 '''멀티 링크 PPP'''라고 하며, ISDN이나 PHS 등에서 사용된다.

11. 1. 멀티링크 PPP

멀티링크 PPP (MLPPP, MP, MPPP, MLP 또는 멀티링크)는 여러 개의 개별 PPP 연결을 통해 트래픽을 분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RFC 1990에 정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기존 56k 모뎀을 사용하여 가정용 컴퓨터를 인터넷 서비스 제공업체에 연결하거나, 두 개의 전용 회선을 통해 회사를 연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단일 PPP 회선에서는 프레임이 순서대로 도착해야 하지만, 프레임이 여러 PPP 연결로 분할될 때는 이 순서가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멀티링크 PPP는 조각에 번호를 매겨 도착 시 올바른 순서로 다시 정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멀티링크 PPP는 링크 집합 기술의 한 예이다. 시스코 IOS 릴리스 11.1 이상은 멀티링크 PPP를 지원한다.

여러 PPP 회선을 묶어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경우를 멀티 링크 PPP라고 하며, ISDN이나 PHS 등에서 사용된다.

11. 2. 멀티클래스 PPP

PPP를 사용하면 단일 링크를 통해 여러 개의 동시 PPP 연결을 설정할 수 없다.

멀티링크 PPP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멀티링크 PPP는 패킷의 모든 조각에 대해 연속된 숫자를 사용하므로 하나의 패킷 조각 시퀀스 전송을 중단하고 다른 패킷을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것은 동일한 링크에서 멀티링크 PPP를 여러 번 실행하는 것을 막는다.

'''멀티클래스 PPP'''는 각 트래픽 "클래스"가 별도의 시퀀스 번호 공간과 재조립 버퍼를 사용하는 멀티링크 PPP의 일종이다. 멀티클래스 PPP는 RFC 2686에 정의되어 있다.

12. 터널

SSH, SSL, L2TP와 같은 터널링 프로토콜은 터널 양단 간에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생성하며, PPP는 이 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로 사용된다. 리눅스 호스트에서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tun0' 또는 'ppp0'이라고 부른다.

PPP는 가상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할당하며, 이 주소는 터널 양쪽 네트워크 간 라우팅 등에 활용될 수 있다. 터널 모드의 IPsec은 TCP/IP 스택에서 직접 처리되므로 가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지 않지만, L2TP와 함께 사용될 경우(L2TP/IPsec) PPP를 통해 IP 주소를 할당받을 수 있다.

'''예시 SSH+PPP 터널을 위한 단순화된 OSI 프로토콜 스택'''
계층프로토콜
응용FTP, SMTP, HTTP, DNS 등
전송TCP, UDP
네트워크IP
데이터 링크PPP
응용SSH
전송TCP
네트워크IP
데이터 링크이더넷, ATM
물리케이블, 허브 등



'''PPP 아키텍처'''
프로토콜
IP
LCPCHAP PAP EAPIPCP
PPP 캡슐화
HDLC 방식 프레이밍PPPoEPPPoA
RS-232POS이더넷ATM
SONET/SDH


12. 1. 파생 프로토콜

PPTP (점대점 터널링 프로토콜)는 암호화(MPPE) 및 압축(MPPC)을 사용하여 GRE를 통해 두 호스트 간에 PPP를 수행하는 방식이다.

PPP는 SLIP (시리얼 라인 인터넷 프로토콜)의 후속 프로토콜로 1992년에 규정되었지만, 현재는 1994년에 규정된 버전이 사용되고 있다. PPP는 SLIP과 달리 TCP/IP 외의 통신 프로토콜 (NetBEUI, AppleTalk 등)과도 연결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다이얼 업 PPP는 PPP에 다이얼 발신 및 착신 기능을 추가한 것으로, 원격지에서 전화 회선을 통해 네트워크에 컴퓨터를 접속하기 위한 프로토콜로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초기 IIJ에 의한 구현 "iij-ppp"가 유명하다.

PPP의 통신은 '''링크 제어 프로토콜''' ('''LCP''', 링크 제어 프로토콜)과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 ('''NCP''',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의 두 가지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다. LCP에 의해 비밀번호 인증 프로토콜 (PAP, 패스워드 인증 프로토콜) 또는 CHAP (챌린지-핸드셰이크 인증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여 링크를 확립한 후, NCP가 각 통신 프로토콜에 필요한 설정 및 인증을 수행하여 접속을 확립한다.

시리얼 통신 회선을 이용한다.

여러 PPP 회선을 묶어 처리량을 향상시키는 경우가 있으며, 이를 '''멀티 링크 PPP'''라고 한다. ISDN이나 PHS 등에서 사용된다.

이더넷상에서 PPP에 의한 세션을 확립하는 방법으로 '''PPPoE''' (PPPoE), ATM상에서의 유사한 방법으로 '''PPPoA''' (PPP over ATM)가 있다.

12. 2. 터널 양단의 레이어 2 프로토콜로서의 PPP

SSL, SSH 또는 L2TP와 같은 일부 프로토콜은 터널 종단 간에 직접적인 물리적 연결과 같은 인상을 주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 리눅스 호스트에서 이러한 인터페이스는 '''tun0''' 또는 '''ppp0'''이라고 한다.

터널에는 두 개의 종단점만 있으므로 터널은 점대점 연결이며 PPP는 가상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간의 데이터 링크 계층 프로토콜로 자연스러운 선택이다. PPP는 이러한 가상 인터페이스에 IP 주소를 할당할 수 있으며, 이 IP 주소는 예를 들어 터널 양쪽 네트워크 간의 라우팅에 사용할 수 있다.

터널 모드의 IPsec은 터널이 TCP/IP 스택에서 직접 처리되므로 터널 끝에 가상 물리적 인터페이스를 생성하지 않는다. L2TP는 이러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이 기술을 L2TP/IPsec이라고 한다. 이 경우에도 PPP는 터널의 끝단에 IP 주소를 제공한다.

13. IETF 표준

IETF 표준 점대점 프로토콜(PPP) 관련 RFC는 다음과 같다.

RFC 번호설명
RFC 1332The PPP Internet Protocol Control Protocol (IPCP)
RFC 1661Standard 51, The Point-to-Point Protocol (PPP)
RFC 1662Standard 51, PPP in HDLC-like Framing
RFC 1962PPP Compression Control Protocol (CCP)
RFC 1963PPP Serial Data transport Protocol
RFC 1990The PPP Multilink Protocol (MP)
RFC 1994PPP Challenge Handshake Authentication Protocol (CHAP)
RFC 2153Informational, PPP Vendor Extensions
RFC 2284PPP Extensible Authentication Protocol (EAP)
RFC 2364PPP over ATM
RFC 2516PPP over Ethernet
RFC 2615PPP over SONET/SDH
RFC 2686The Multi-Class Extension to Multi-Link PPP
RFC 2687Proposed Standard, PPP in a Real-time Oriented HDLC-like Framing
RFC 5072IP Version 6 over PPP
RFC 5172Negotiation for IPv6 Datagram Compression Using IPv6 Control Protocol
RFC 6361PPP Transparent Interconnection of Lots of Links (TRILL) Protocol Control Protocol



PPP는 RFC 1661(점대점 프로토콜, 1994년 7월)에 정의되어 있다.[4] RFC 1547(인터넷 표준 점대점 프로토콜 요구 사항, 1993년 12월)은 PPP의 필요성과 개발에 대한 역사적 정보를 제공한다. TCP/IP, DECnet, AppleTalk, IPX를 포함한 다양한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이 PPP와 어떻게 연동되는지 정의하기 위해 일련의 관련 RFC가 작성되었다.

14. PPPoE

'''PPPoE''' 또는 '''PPPoE''' (Point-to-Point Protocol over Ethernet, 점대점 프로토콜 오버 이더넷)는 이더넷 프레임 위에 PPP를 캡슐화하는 통신 프로토콜이다. IETF RFC 2516에 의해 정의된다. 주로 DSL이나 CATV, FTTH 등에서의 인터넷 접속 서비스에서 브리지 접속용으로 이용된다.

이더넷에서는 PPPoE를 사용하지 않아도 IP 패킷을 직접 처리할 수 있다. 굳이 PPPoE를 사용하는 이유는 PPP가 가진 사용자 인증 등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이다. 그 대가로 MTU 감소를 비롯한 오버헤드가 발생한다.

참조

[1] IETF RFC 1661
[2] IETF RFC 1968
[3] citation Linux: Rute User's Tutorial and Exposition https://www.physics.[...] 2024-08-20
[4] Harvnb Stevens 1994
[5] report The PPP Internetworking Packet Exchange Control Protocol (IPXCP) https://datatracker.[...]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1993-12
[6] report The PPP AppleTalk Control Protocol (ATCP) https://datatracker.[...]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1992-11
[7] 웹사이트 Point-to-Point (PPP) Protocol Field Assignments https://www.iana.org[...] IANA 2015-09-03
[8] 웹사이트 IETF Datatracker https://datatracker.[...] 2023-08-26
[9] 문서 RFC 196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